□ 베트남 물류시장 현황
○ Viet Capital Security(VCSC)에 의하면, 베트남 물류시장 규모는 500억~600억 달러에 달함. 연평균 성장률 15~20%의 속도로 빠르게 성장 중이며, 향후 5~10년간 두 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할 전망
- 월드뱅크 물류성과지수(LPI) 보고서에 따르면, 2014년 베트남은 3.15점을 기록하며 160개 국가 중 48위에 위치. 인근 국가 순위로는 싱가포르 5위, 말레이시아 25위, 태국 35위, 인도네시아 53위, 필리핀 57위, 캄보디아 83위로 조사됨.
○ Do Xuan Quang 베트남 물류협회 회장에 의하면, 1300여 개의 물류기업이 베트남에 있으며, 주로 운송 및 배달·수송·창고·항구·선적 및 하적·공급·세관 절차 및 통합 물류서비스를 운영 중임.
- 또한, 대부분의 베트남 물류업체들은 2PL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 중. 반면, 선진국에서는 3PL 방식의 물류업체 및 통합공급체인 관리 벤더가 우세함.
· 2PL(2자물류): 화주기업이 자회사나 계열사 등에 위탁해 물류업무를 수행하는 것
· 3PL(3자물류): 생산자와 판매자의 물류를 제 3자를 통해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것
- 베트남 물류회사 중 약 70%는 중소기업, 나머지 30%는 외국계 물류기업들임. 그리고 외국계기업들이 약 80%의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음(VLA).
○ 현재 베트남 물류산업은 몇몇 약점을 안고 있음. 업체들의 영세성, 기술 및 자본의 한계 등이 대표적임. 또한, 수천 개의 물류업체들이 단순 물류서비스만 제공하는 등 물류체인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음.
자료원: 월드뱅크, Logistic Performance Index 보고서(2014)
□ 베트남 물류 인프라
○ 항구
- 전체적으로 현대적인 관리시설 및 장비를 갖추고 대형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항구는 아직 적은 수준. 야드(yard)와 창고가 대량 컨테이너를 보관하기에 불충분함.
- 화물 운송은 주로 호찌민시(HCMC), 하이퐁(Hai Phong), 다낭(Da Nang) 그리고 퀴뇬(Qui Nhon)과 같은 대도시나 지방 항구도시에서 이루어짐.
○ 공항
- 베트남 내 20여 개의 공항이 있으며, 이중 11개 공항에서 국제선이 취항 중. 항공사로는 베트남항공(국영)과 비엣젯항공(합작)이 있으며, 주로 여객용으로 운영됨.
○ 육로(도로)
- 베트남 도로망은 약 10만6000㎞에 이르며, 육로를 통한 국내 여객 및 화물 운송 비율은 약 65%를 차지함.
- 수출입 전후 활동에 있어 육로를 통한 도어 투 도어(Door to door) 운송 방식이 필수적이나, 아직 베트남 도로망이 부족하고 보존상태가 열악해 많은 교통 혼잡이 야기되고 있음. 결과적으로 물류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.
○ 철도
- 베트남 철로는 약 2600㎞ 길이에 달함. 철로를 통한 컨테이너 운송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, 국영기업인 베트남 철도공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음.
○ 내륙 수로
- 베트남은 홍강 및 메콩 델타 지역을 비롯해 수준 높은 수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, 수로를 통한 화물 운송 비율은 약 30%에 이름.
○ 최근 몇 년간 베트남의 수출액 증가 추세, 생산기지화를 위한 대베트남 투자 증가, TPP, AEC와 같은 FTA 체결 증가는 베트남의 물동량을 상승시키고, 이는 베트남 물류산업의 잠재력으로 작용
○ 다수의 베트남 물류회사들이 운송 및 창고, 저장과 같은 기본적인 물류 서비스만 제공 중임. 이에 반해 3PL 서비스를 제공 중인 15% 물류업체들은 서비스 품질 및 전문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 경쟁적 이점을 보유하고 있음.
○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 증가 및 수출입 물량 증가에 따라 고객들의 욕구는 점차 복잡해질 것이므로, 물류업체들은 좀 더 넓은 범위의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. 또한, 물동량이 급속히 늘어날 가능성도 대비해야 함.
- 베트남 수출액은 8~10%의 연평균 성장률를 유지하고, 교역량 역시 해마다 증가 중임. 이에 따라 창고, 포장, 검사 등 물류서비스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.